예방접종클리닉
예방접종

전염성 질환 발생의 예방을 위해 미생물의 병원성을 죽이거나 약하게 하여 인체에 접종하는 것입니다.
특히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여행국에서 정한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국제 예방접종 증명서를 소지해야 합니다.
안내
인플루엔자 백신 (독감) |
65세 이상에서 매년 10~11월에 1회 접종 / 산모의 경우 임신 2, 3기에 적합 |
---|---|
폐렴사슬알균 백신 | 1회 접종 / 단, 면역저하자의 경우 5년마다 1회씩 접종 권장 |
수두 백신 (대상포진) |
2회 접종 / 1차 접종 후 1~2개월 후 2차 접종 권장 |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자궁경부암) |
3회 접종 / 1차 접종 후 2개월(2차), 6개월(3차) 접종 권장 |
A형 간염 백신 | 2회 접종 / 1차 접종 후 6~12개월 후 2차 접종 권장 |
B형 간염 백신 | 3회 접종 / 1차 접종 후 1개월(2차), 6개월(3차) 접종 권장 |
주의사항
- 1
급성 감염성 질환을 비롯한 급성 질환이 있을 경우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예방접종 투여가 금기 시 되기도 합니다.
- 2
접종 전에는 최근 발열이나 특별한 건강 상의 문제가 없었는지 꼭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풍진 예방접종의 경우 생백신을 투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여 후 4주간 피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예방접종 직후에는 주사 부위를 알코올솜으로 잘 문지르도록 하며 청결하게 관리합니다.
성인예방접종표
19~29세 | 30~39세 | 40~49세 | 50~64세 | 65세이상 | ||
---|---|---|---|---|---|---|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 10년마다 접종 | |||||
인플루엔자 | 매년 접종 | |||||
A형 간염 | 접종 | 항체 검사 후 접종 | ||||
B형 간염 | 접종력이 불확실할 때 항체 검사 후 접종 | 고 위험군은 접종력이 불확실할 때 항체 검사 후 접종 | ||||
홍역-볼거리-풍진 | 고 위험군 접종 | |||||
수두 | 고 위험군은 항체 검사 후 접종 | |||||
인유두종 바이러스 | 여성 접종 | |||||
수막알균 | 고 위험군 접종 | |||||
폐렴사슬 알균 | 고 위험군 접종 | 접종 | ||||
대상포진 | 60세 이상 접종 |
안내
백신종류 | 백신이 필요한 지역 | 고위험 여행의 특징 | 기타 참고 사항 | |
---|---|---|---|---|
01. 입국에 필요하므로 투여하는 예방접종 | 황열 | 아프리카와 중남미의 황열 발생지역 중 황열 백신 증명서를 요구하는 국가 도착 10일 전까지 국립중앙의료원이나 검역소로 의뢰 | 1회, 10년마다 재접종 | |
수막알균 | 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도착 10일 전까지 | 1회, 결합백신은 5년마다 재접종 | ||
02. 개발도상국 여행 시 일반적으로 필요한 예방접종 | A형 간염 | 개발도상국 모든 지역 | 면역이 없는 모든 여행객(30세 이하) | 2회(0.6~12개월) |
장티푸스 | 인도, 카피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인도네시아, 필리핀, 파푸아뉴기니 | 2주 이상 여행사거나 시골을 여행하는 사람 | ||
수막알균 | 아프리카 중부 국가들, 사우디아라비아 | 선교 또는 의료 봉사 | 1회, 5년 후 재접종 | |
수두 | 개발도상국 모든 국가 | 면역이 없는 일부 30대 이하 여행객 | 항체 검사 필요:2회(0.1~2개월) | |
홍역-풍진-볼거리 | 개발도상국 모든 국가 | 면역이 없는 일부 30대 이하 여행객 | 항체 검사 불필요 : 1회 | |
광견병 | 남아메리카, 멕시코, 아시아 | 동물연구, 1개월 이상 시골을 여행 하거나 봉사활동 | 3회 | |
황열 | 아프리카와 중남미의 황열 발생 지역 | 정글 탐험가 | 1회, 국립보건연구원이나 검역소에 의뢰 | |
폴리오 | 인도, 파키스탄, 아프카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스탄, 나이지리아를 포함 한 아프리카 | 40세 이하 성인, 시골 여행 | 1회 | |
인플루엔자 | 남반구 | 여름에 여행하는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 1회 | |
03. 통상의 관광 여행이 아닌 경우 추가되는 예방접종 | 진드기 매개 뇌염 | 러시아, 동유럽 | 삼림에서 여름에 활동 시 | 국내에 백신 없음 |
콜레라 | 난민 보호소에서 봉사활동을 할 경우 | 경구 불활화 백신(듀코랄)이 선호됨 | ||
04. 여행을 계기로 면역 상태를 검사하거나 투여하는 예방접종 | 표준예방접종표 참고 |
이 권장표와 변경 사항은 대한감염학회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http://www.ksid.or.kr)